파이영어
구  글 빙(bing) 네 이 버 다  음  네이트
줌(zum) 유튜브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dictionary
한국의 영문법에서는 사역동사의 종류가 정해져있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어의 모든 타동사는 사역적 성질을 가집니다.
심지어 자동사도 사역동사차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1. 사역동사 구조 : 동사 + 목적어 + to 동사원형

마르크스가 인류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다
라고 말했지만 실제로 동양에서는 계급적 성향이 매우 약해습니다.

사역동사는 목적어에게 무엇을 시키다라는 뜻인데
한국어에는 이런 구조는 거의 없고 영어에 많이 나옵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영국의 역사가 매우 계급적인 역사이므로
문의 구조도 계급적 성향을 가집니다.

My car drived to the airport.
I drived my car to the airport.
자동사
타동사
(직역 : 내차가 공항에 갔다)
(직역 : 나는 내차를 공항으로 운전했다)

영어사전에서는 drive 는 자동사 + 타동사 로 나오지만
실제적으로 drive 역시 사역동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집니다.

사역동사에서 to 부정사 대신에 into+동명사도 가능합니다

to 부정사 → into+동명사

into가 많이 사용되지만 in / on 등도 사용가능합니다

I forced my car to go to the airport.
I forced my car into going to the airport.
(나는 차를 공황으로 운전했다)

본래 to 는 방향을 뜻하는 전치사이지만 후에 to + 동사원형
이라는 문의 구조가 등장하면서 오늘날의 사역동사 구문이
나타나게 됩니다.

사역동사의 뜻 : 목적어에게 to 이하를 하게하다

They put him into obedience.
They forced him into obedience.
They forced him to obey.
(그들은 그에게 힘을 가해서 굴복하게 하다)

I persuaded her into seeing the doctor.
I persuaded her to see the doctor.
(그녀를 설득해서 의사를 만나게 했다)

I put him into doing the job.
I asked him into doing the job.
I asked him to do the job.
(그에게 요청을 해서 그일을 하게하다)


2. 사역동사의 종류 : 강제, 요청, 고지, 허가, 설득 등등

사역동사 종류에는 강제, 요청, 고지, 허가 등이 있다고
한국의 영문법에는 가르키지만 실제로는 타동사의 80% 가
사역동사처럼 사용됩니다.

They shouted to him to jump.
They told him to jump.
I persuaded her to see the doctor.
I asked him to do the job.
He left her to deal with his creditors.
They forced him to obey.
고지
고지
설득
요청
허가
강제
(그들은 그에게 점프하라고 소리 쳤다)
(그들은 그에게 점프하라고 말했습니다)
(나는 그녀에게 의사를 만나라고 설득했다)
(나는 그에게 일을 하도록 요청했다)
(그는 채권자들과 거래를 그녀에게 맡겼다)
(그들은 그에게 순종하도록 강요했습니다)


사역동사처럼 문의 구조를 가지는 동사들입니다.

I like my wife to dress well.
I want (for) you to come now.
(내 부인이 옷을 잘 입는 것을)
(당신이 지금 와야하는 것을)

She paid him money to do that.
She paid money to him to do that.
She paid him to do that.
(그가 그것을 하도록 그녀는 돈을 지급했다)

I gave him money to buy car.
I gave money to him to buy car.
(그가 차를 살 수 있도록 ~)

위 구문의 특징은 목적어 + to 동사원형 인데
결국 목적어가 to를 한다는 뜻입니다.
문의 구조는 사역동사와 일치합니다.


3. 자동사의 사역동사화

한국의 영문법에서는 자동사는 사역동사 구문을 가질 수 없다고
가르키지만 실제적으로 영어에서는 자동사도 사역동사처럼 사용합니다.

He slept himself (to be) sober.
She cried herself (to be) hoarse.
(그는 잠을 잤자고 난 후 술이 깨었다)
(그녀는 울었고 결국 목이 쉬었다)

He said to me to hurry.
They shouted to him to jump.
He signaled (to) me to start.

실제로 영국에는 아직도 귀족이 있습니다.
영어동사가 사역적 성질이 강한 이유는 영국 사회가
계급적 성향이 강하다는 뜻 입니다.


4. to 생략된 사역동사

make, let, help, have 이 네동사는 to 를 생략합니다.

I have him fix my car.
I make him fix my car.
I let him fix my car.
I help him (to) fix my car.

위 동사들이 to 가 생략되는 이유는 모르지만 아마도 습관적으로
to를 생략하다 보니 to 를 생략하는 용법이 나온 듯 합니다.
물론 수동태에서는 다시 to 가 등장합니다.


5. 사역동사의 수동태 : be + 과거분사 + to 동사원형

영어는 문장은 크게 능동태와 수동태로 구분합니다.
수동태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다루므로 여기서는 간단히 적겠습니다.
참고로 have, let, help 는 수동태가 없습니다.

I make him fix my car.
He was made to fix my car.
(나는 그에게 차를 고치게 했다)

I gave money to him to buy car.
Money was given to him to buy car.
(나는 그에게 돈을 주어 차를 사게했다)

They forced him to obey.
He was forced to obey by them.
(그들은 그에게 복종을 강요했다)

I asked him to do the job.
He was asked to do the job by me.
(난 그에게 직업을 가지라고 요청했다)

나중에 알게 되지만 위 수동태 구문은 형용사 + to 동사원형
구조와 유사합니다.
일부 영문법 학자들을 과거분사를 형용사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He was made to fix my car.
He was helpful to fix my car.
(그는 내 차를 수리하는 것에 도움된다)

Money was given to him to buy car.
Money was helpful for him to buy car.
(돈은 그가 차를 구매하는 것에 도움된다)
케이원 (k111.kr)
케이원 - 종합검색 - 시작페이지
잡원 (job11.kr)
무료 취업 종합 정보
파이영어에 있는 영어예문은
파이영어단어 앱에서
듣을 수 있습니다

파이영어단어 앱 설치

구글플레이에서 다운
원스토어에서 다운

파이영어단어에는
단어 만개와 숙어 천개
예문 2만개 이상을 전부
무료로 듣을 수 있습니다
TTS 엔진을
크롬 확장프로그램에
추가하여 설치하십시요
그러면 마우스로 문장을
선택 후에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시면 문장 →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www.pi314.kr     대표 : 김승종
개인정보호정책     개인정보 무단수집 거부
메일 : liveland@naver.com Copyright 2020 파이영어